언론보도

    <충청투데이> 충청권 반려동물 전담조직 신설 절실

    한국반려동물경제인협회 2022-05-26 조회수 아이콘 125

    尹정부, 국정과제에 동물 복지·반려문화 조성내용 포함… 관심↑

    충북, 축·수산과 주무관 담당… 충남, 동물보호·복지담당 1명 뿐

    대전·세종, 반려동물 업무 담당자 2명 불과… 전담부서 필요 목소리



    충청권 반려동물 가구현황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새 정부가 국정과제에 동물 복지·반려문화 조성내용을 포함시키는 등 전국적으로 반려동물 인식개선과 제도 마련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며 충청권 지자체 역시 전담 조직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5일 통계청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대전 12.7%(약 8만 가구) △세종 13.3%(약 1만 8000가구) △충북 16.2%(약 11만 가구) △충남 17.5%(15만 6000가구)로 충청권 전체 가구(약 230만 가구) 중 약 15%(약 36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세종은 7대 특·광역시 중 2위, 충남은 전국 17개 시·도 중 2위를 차지하며 전국에서 반려동물 가구 비중이 두각을 나타냈다.


    많은 지역민이 동물을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기르는 단순한 ‘애완동물’이 아닌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반려동물’로 인식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처럼 수많은 지역민들이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여기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지자체 차원의 정책적 관심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실제 충북은 전담팀 없이 축·수산과 소속 주무관 1명이 모든 동물보호·복지 업무를 병행 중이고 전담팀이 있는 충남도 동물보호·복지 담당 실무자는 단 1명뿐이다.


    그나마 대전·세종이 다수 이상의 동물보호·복지 담당 실무 인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반려동물’ 관련 업무 담당자는 각각 2명에 불과하다.


    문제는 이처럼 충청권 전역에서 적은 인력으로 지역 반려동물 인식개선·정책수립 등이 이뤄지고 있다 보니 반려문화 조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일례로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공개한 ‘지역별 동물보호법 인지도 조사결과(2021년 기준)’를 살펴보면 대전·세종이 7대 특·광역시 중 나란히 6·7위, 충남이 전국 17개 시·도 중 16위를 기록했다. 동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생명 존중에 대한 국민정서를 함양하고자 제정한 동물보호법 인지도가 전국 최하위권에 그치며 충청권의 동물보호문화 홍보와 정착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반면 타 시도는 지역 내 반려동물 정책 수립과 인식 확산 등을 담당할 체계적 전담 조직의 필요성을 인식해 전담 부서를 신설했다. 경기도의 경우 동물보호과 내 16명의 실무자가 지역 내 반려동물 문화정착, 반려견 훈련 및 관리 등에 대한 업무를 담당해 체계적인 업무구조를 이루고 있다.


    지역 동물보호단체들은 지역 내 성숙한 반려문화 정착을 위해선 조직·체계적 지자체 전담 부서가 필요하다고 호소한다. 오은숙 대전 시온쉼터 소장은 "지자체 인력 확충이나 조직 체계 개편을 통해 반려 동물에 대한 지역민 인식개선·정책수립 등이 원활히 이뤄져야 지역 내 건강한 동물 보호·반려 문화 정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출처: 충청투데이(https://www.cctoday.co.kr/) 노세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