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펫헬스> 세계 첫 반려견 위한 영상콘텐츠 페스티벌 ‘BiC4Dog’ 부산서 열린다
한국반려동물경제인협회
2022-06-08
160
세계 첫 반려견 위한 영상콘텐츠 페스티벌 ‘BiC4Dog’ 부산서 열린다
펫 시·청각에 맞춘 ‘Movie for Dog’…‘반려견 미디어’ 토론회
사진 부산시
세계 최초 ‘반려견을 위한 영상콘텐츠 페스티벌’(BiC4Dog)이 부산에서 열린다.
7일 부산시·부산콘텐츠마켓 조직위에 따르면, 8일부터 국제영상콘텐츠 거래 플랫폼인 ‘부산콘텐츠마켓(BCM)’이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된다. 오프라인 행사는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벡스코(BEXCO) 컨벤션홀에서 진행되며, 온라인 행사는 8일~24일 부산콘텐츠마켓 공식 누리집(ibcm.tv)에서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급성장하는 반려동물산업 시장을 겨냥해 세계 최초로 ‘BiC4Dog’ 프로그램이 예정돼 있다.
먼저 반려견을 사랑하는 인플루언서·유튜버, 반려견·반려견 가족이 함께 시청할 수 있는 영상 콘텐츠 이벤트인 ‘Movie for Dog’이 8일~10일 벡스코 컨벤션홀 앞 광장에서 열린다. 반려견의 시·청각에 맞춘 콘텐츠를 통해 반려견 콘텐츠라는 틈새시장을 선점한다는 목적으로 기획됐다.
9일에는 벡스코 제1전시장 회의실에서 반려동물 미디어와 관련한 아카데믹 컨퍼런스(Academic Conference)가 열린다.
허주형 대한수의사회 회장의 기조연설에 이어 △DogTV와 반려견의 미디어 시청(김세환 빅프렌즈 이사) △미디어시스템을 활용한 새로운 수의교육 방법(유영준 쓰리디메디비전 팀장)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EBS’ 제작 경험과 노하우(김병수 EBS CP) △반려동물 예능 프로그램 변화와 전망(양문희 상지대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 △반려동물의 미디어 콘텐츠 소비시대(박철 전북대 수의대 교수) 등의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또한 반려동물의 인지와 행동, 복지, 뉴미디어 기술 동향, 산업계 동향, 반려동물 관련 내용을 모두 담을 수 있는 학제간 융합적 성격의 저널 발간을 놓고 방향성과 의의에 대해 토론이 진행된다.
사진 부산시
반려견을 사랑하는 연예인들이 자신의 반려견과 함께 레드카펫을 걷는 ‘셀럽위드독’ 행사는 8일 열린다. 유기견 입양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개최되는 ‘셀럽위드독’에는 유기견을 입양한 셀럽 위주로 참가할 예정이다.
조직위 측은 “2012년 미국에서 방송을 개시한 Dog TV는 전 세계 3000만 가구가 유료 구독할 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도 반려동물이 사람과 같은 인격체로 대우받는 펫 휴머나이제이션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MZ세대는 반려동물을 사람과 같이 생각하고 자란 세대로서 반려동물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에 많은 소비를 하고 있다”면서 “이에 동물 복지 차원에서 반려동물을 위한 콘텐츠나 서비스 개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16회째를 맞이하는 부산콘텐츠마켓은 전 세계 43개국 400여 개의 업체가 참여하며, ‘너의 이야기는 우리의 이야기(Your story is our story)’라는 주제로 △BCM마켓 △BCM펀딩 △BCM콘퍼런스 △부대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BCM마켓은 지난해와 달리 오프라인 부스 참가 규모를 11개에서 78개 부스로 확대해 해외 바이어·셀러들과 현장에서 진행되는 기업 간 거래(B2B) 행사의 진가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CM펀딩에서는 콘텐츠 전문 투자심사역 26명으로 구성된 BCM 투자자문단이 비즈니스 매칭을 지원한다. 방송뿐만 아니라 웹툰, 게임, 1인 미디어,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다양한 융복합콘텐츠에 대한 투자와 비즈니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BCM콘퍼런스는 총 8개의 세션으로 지난해보다 구성을 확대한다. 부산을 배경으로 제작된 드라마 ‘파친코’ 제작진과 출연 배우가 제작과정, 촬영 에피소드 등 현장의 이야기를 직접 전달할 예정이다. ‘한중 드라마 교류 협력 발전 및 새로운 가능성’을 주제로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 토론회도 진행한다.
BCM아카데미는 ’플랫폼의 변화와 제작 시장의 진화‘를 주제로 총 7개 강좌로 구성, 3일간 오프라인으로 운영한다. 일반인들도 참가했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전국의 관련 전공생만을 대상으로 강좌를 진행한다.
출처: 펫헬스(http://www.pethealth.kr/) 신은영 기자